오늘 한 일
- 10회 랜덤 이동 시스템 구현
- 거리 계산 함수 직접 작성
- 이벤트 발생 함수 설계 및 확률 기반 호출
배운 것
- 삼항 연산자
? :
사용법과 자료형 일치의 중요성 UE_LOG
에서 포맷 코드 실수로 로그 누락 가능성 경험TriggerCount
를 지역 변수로 선언하면 누적 안 됨 → 멤버 변수로 선언 필요
느낀 점
로그 하나로 흐름을 추적하며, 문제 원인을 빠르게 찾는 능력이 중요함을 느꼈다.
거리 계산 수식 하나 구현했을 뿐인데 수학적 사고와 최적화까지 고려하게 되었다.
C++에서는 "변수를 어디에 선언했는가"가 곧 코드의 생명주기를 결정한다는 걸 다시 체감했다.
'UE5 부트캠프(TIL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RPG 기획 구조 논의 및 Figma 시각화 (0) | 2025.06.20 |
---|---|
[TIL] 분할 컴파일과 헤더 파일의 필요성 (0) | 2025.06.19 |
[TIL] 도서관 기능 구현 (5) | 2025.06.13 |
[TIL] 템플릿과 STL 개념 정리 및 Vector Lib 구현해보기 (1) | 2025.06.11 |
[TIL] 상속 익숙해지기 (1) (1) | 2025.06.09 |